Queue
-
💡파이썬 큐(Queue) 이론 및 예제| 자료구조 & 알고리즘/자료구조 2023. 11. 10. 15:32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다 보면 다양한 자료구조를 만나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큐(Queue)는 스택과 함께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큐의 개념과 파이썬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큐(Queue)란? 알고리즘 코딩테스트에서 가장 자주 활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중 하나 (BFS문제에서 자주 활용)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 입력과 출력이 각각 다른 방향에서 한쪽으로만 일어남 큐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음 - 데이터의 크기만큼 크기가 결정됨. 따라서 C에서는 enQueue, deQueue 할때마다 메모리 재할당(realloc)이 필요하지만 파이썬에서는 신경 안써도 됩니다. 파이썬 메모..
-
💡 [자료구조] Stack and Queue| 자료구조 & 알고리즘/자료구조 2021. 10. 26. 09:28
Stack 후입선출(LIFO) 자료구조 함수가 호출되면 스택 영역 메모리에 함수가 올라가요 삽입과 삭제가 한 방향에서만 일어나요 DFS에서 많이 쓰여요 (재귀적 호출) Queue 선입선출(FIFO) 자료구조 작업을 순서대로 실행시키기 위해 대기열을 구현할때 많이 사용돼요 삽입과 삭제가 양 방향 각각에서 일어나요 BFS에서 많이 쓰여요 (재귀적 호출) 다양한 형태의 Queue가 존재하는데, 특히 Deque의 경우는 삽입과 삭제가 양 방향에서 모두 일어날 수 있어요
-
💡[BOJ 20922 / 코틀린] 겹치는 건 싫어 - 투 포인터문제풀이/BOJ 2021. 9. 3. 14:26
백준 20922_겹치는 건 싫어 | 문제 링크 투 포인터 기법을 활용한 문제입니다. 문제 설명 N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수열에서, 같은 수가 K번 이하로 반복되는 최장 연속 부분 수열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N은 1~200,000 , K는 1~100 범위의 정수로 주어집니다.각 원소 ai는 1~100,000 범위의 정수로 주어집니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과 K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1,a2,...an이 주어진다.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최장 연속 부분 수열의 길이를 출력한다. Main 함수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 fun main() { var N:Int = 0 var K:Int = 0 readLine()!!.split(" ").let { N = it[0].toInt() 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