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틀린(Kotlin)을 배워야 하는 이유 (취준생의 시점)| 칼럼 2021. 6. 21. 15:33
목차
아래는 불과 4개월 전, 자바와 코틀린을 비교하며 썼던 글입니다.
https://blog.naver.com/tkd1s/222264845424
취준생의 입장에서 본, 자바(Java) vs 코틀린(Kotlin)
결론부터 말하면 나는 자바를 사용하기로 했다. 안드로이드 개발자를 꿈꾸며 2개월정도 이 주제로 고민하고...
blog.naver.com
이때는 2018년 구글이
오라클과의 2심에서 패소하고Kotlin First를 선언한 직후 언어의 시장 지배력 추이를 살펴보았습니다.여러가지 지표를 비교하며 결국 Java의 손을 들어주었는데요.
기본적인 입장은 여전히 동일합니다. 자바 vs 코틀린 뭐가 더 essential하냐고 묻는다면 당연히 자바의 손을 들겠습니다.
하지만 자바를 이미 어느정도 이해하고, 자바로 안드로이드 기본 기능들을 어느정도 다룰 줄 안다면...
코틀린 공부도 이제는 피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잡플래닛에서는 여전히 코틀린 관련 공고를 찾아보기 어렵지만, 사람인에서는 코틀린 관련 공고가 꽤 많이 증가했습니다.
또, 최근 프로그래머스에서 진행된 2021 Dev-Matching에서도 코딩테스트 언어가 안드로이드의 경우 Kotlin으로 제한되었죠...
2021 Dev-Matching: 앱 개발자(상반기)
접수 21년 05월 31일 11:00 ~ 06월 18일 17:00 테스트 21년 06월 19일 13:00 ~ 06월 19일 17:00
programmers.co.kr
기타 다른 신입 개발자 채용 시장을 살펴봐도, 점차 안드로이드 자격요건 = RxJava + 코틀린으로 점점 옮겨가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구글-오라클 소송에서 구글이 승소하여 자바 저작권 이슈가 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이제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구글이 코틀린을 곧바로 버릴 것 같지는 않아 보입니다.
또, 코틀린의 장점으로는 생산성이 좋다는 것이 있죠.
신입으로서 빠른 시간안에 포트폴리오를 쌓기 위해서는 생산성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겠습니다.
오늘부터 당장 코틀린 공부 시작합니다,,